top of page

TOTEME  Seoul  pop-up 2024

Traditional and modern harmony, TOTEME's 'Prototype' pop-up store.

 

Sweden's leading fashion house, TOTEME, has opened an original "Prototype" pop-up store at TOMG Seongsu in Seongsu-dong, Seoul. The pop-up brought together TOTEME's minimalism and design philosophy in a new way through the traditional material "Hanji."

 

This space, which is displayed using Korean paper, vividly expresses "temporaryity" and "flexibility," and creates a sensuous and sophisticated atmosphere by producing all of the components inside the store with rich textures. In particular, the warm aesthetics of Korean paper and the modern sense of TOTEME naturally combine to create a special space where tradition and modernity coexist.

 

Year: 2024

Size: 180㎡

Location: Seoul, KR

Sector: Fashion

Spatial design development: HandSome Corp. Studio AHM and Jungmo Kwon

Concept design: Random studio

 

          @Jungmo_kwon  @studio_ahm

  • Instagram

  스웨덴을 대표하는 패션 하우스 TOTEME는 서울 성수동의 복합문화공간 TOMG 성수에 ‘Prototype’이라는 이름의 특별한 팝업스토어를 열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제품 진열을 넘어, TOTEME가 지닌 고유의 미니멀리즘과 절제된 디자인 철학을 한국의 전통 소재인 ‘한지’를 매개로 재해석한 시도였습니다.한지로 구성된 이 공간은 본질적으로 일시성과 유연성이라는 개념을 시각화한 장소입니다. 얇고 부드러운 종이의 질감은 공간 전반에 자연스러운 흐름과 빛의 확산을 만들어내며, 구조와 장식을 동시에 아우르는 섬세한 미감으로 관람자에게 감각적인 몰입을 선사합니다. 특히, 매장 내부를 이루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한지를 기반으로 제작되어, 표면과 형태, 그 사이를 흐르는 공기까지도 텍스처와 온기로 감싸 안듯이 표현되었습니다. 이러한 설계는 TOTEME의 현대적인 미학과 한국 전통의 정서가 서로를 침범하지 않으면서도 은은하게 공명하는 방식을 보여줍니다. 차가운 기하와 따뜻한 물성이 겹쳐지는 이 공간은, 전통과 현대가 충돌 없이 어우러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섬세하게 제시합니다.
TOTEME의 ‘Prototype’ 팝업은 단순한 상업 공간을 넘어, 문화와 디자인이 만나는 순간의 기록이며, 낯선 이방의 브랜드가 한지를 통해 한국이라는 장소와 대화를 시도한 하나의 여운 있는 실험이라 할 수 있습니다.

Photography with TOOLS

기록의 여백, 한지의 공간
TOTEME 'Prototype' Pop-up Store 

 

  성수동의 한가운데, 오래된 공장지대를 재해석한 현대적 건축물 TOMG Seongsu에 스며든 TOTEME의 'Prototype' 팝업스토어는 하나의 공간적 선언처럼 다가왔다. 스웨덴식 절제의 미학과 한국 전통 재료인 '한지(Hanji)'가 교차하는 이곳은, 단순히 브랜드의 임시 매장이 아닌, 시간성과 재료성에 대한 건축적 성찰의 장이었다. 

나는 이 공간을 아카이빙하며 두 개의 축을 따라 시선을 두었다.  하나는 디자이너 권중모 작가와 Studio AHM이 만들어낸 조형적 응답—모던하면서도 공허하지 않은, 심플하지만 비어있지 않은 구성.  또 하나는 TOTEME가 이질적일 수 있는 타지에서 자신들의 미감을 어떻게 섬세하게 조율해내는가에 대한 문화적 태도였다. 그 중심에 자리 잡은 것이 바로 한지였다.  한지는 이 공간의 표면이자 구조였고, 동시에 빛과 공기의 흐름을 드러내는 매개였다. 얇고 부드러운 섬유는 유약한 듯 보이나, 그 안에 깃든 시간의 층위는 단단하고 오래되었다. 나는 그것을 단지 '재료'가 아닌, 일종의 공간의 숨결로 읽었다. TOTEME의 제품이 이 안에서 놓이고, 걷히는 장면을 담으며, 나는 이 공간이 전하고자 했던 ‘일시성의 영속성’이라는 역설을 기록하고자 했다. 

내 사진작업은 단순한 물리적 기록이 아니다.  나는 풍경과 구조물 너머의 본질을 오래도록 응시해왔다. 이번 작업은 그 연장선에서, 디자인과 전통, 브랜드와 장소, 그리고 빛과 종이 사이의 섬세한 균형을 추적하는 과정이었다. 낯설지만 익숙한 이 공간에서,  TOTEME은 자리를 잠시 빌려온 것이 아니라, 한지를 통해 한국이라는 장소의 기억을 빚어내고 있었다.

이 기록이, 사라지는 팝업 공간의 흔적을 넘어, 디자인과 건축이 만나는 방식에 대한 또 다른 성찰로 남기를 바란다.

 

The Margin of Documentation, the Space of Hanji
Upon Archiving the TOTEME 'Prototype' Pop-up Store

 

In the heart of Seongsu-dong, at TOMG Seongsu—a former industrial site reimagined through modern architecture—TOTEME’s 'Prototype' pop-up store arrived as a spatial statement. Where Scandinavian restraint meets Korean traditional material, Hanji, this was not simply a temporary retail installation but a contemplative space about time, tactility, and design language.

As I archived the space, my gaze followed two distinct yet intertwined threads. One was the sculptural response shaped by designer Joongmo Kwon and Studio AHM—a composition that is modern yet not sterile, minimal but never hollow. The other was TOTEME’s cultural sensitivity in introducing their design philosophy within an unfamiliar yet receptive Korean context. At the heart of this dialogue was Hanji. It served not only as a surface or structure, but as a conduit of light, breath, and temporality. Fragile at a glance, Hanji holds within it layers of time, revealing resilience in its very softness. I came to see it not merely as a material, but as the breathing skin of the space. As I photographed scenes of garments being gently placed and removed, I sought to capture the paradox of ephemeral permanence embodied by this pop-up.

For me, photography is never just a physical record. My work has long been committed to observing the essence that lies beyond landscapes and structures. This project extended that pursuit—tracing the delicate balance between tradition and design, brand and locality, light and paper. In this unfamiliar yet oddly familiar setting, TOTEME was not merely borrowing space, but crafting a new memory of Korea—through Hanji.

I hope this archive will linger beyond the space’s disappearance, serving as a quiet reflection on how design and architecture can intersect—and endure.

© 2019~ 2025 JinHa PARK PHOTOGRAPHY     All Right Reserved .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