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억의 주경기장, 시간의 지층 위에 선 건축: 서울올림픽 주경기장 아카이빙: 1984–2025』
1988년 서울올림픽 주경기장은 단순한 스포츠 시설을 넘어 대한민국 현대사의 극적인 전환점을 상징하는 기념비적인 건축물이며, 동시에 당시 국가적 비전과 문화적 자긍심이 뜨겁게 응축된 특별한 공간입니다. 이 거대한 구조물을 설계한 건축가 김수근(1931–1986)은 한국 건축의 전통과 현대의 접합을 끊임없이 실험하며 한국 건축의 정체성을 새롭게 정의하고자 했던 선구자였습니다. 그의 설계는 기능적인 요구와 미학적인 완성을 넘어, 한국인의 민족적 기상과 염원을 구조적인 언어로 형상화하려는 숭고한 시도였습니다. 서울올림픽 주경기장은 건축가 김수근의 마지막 대형 프로젝트 중 하나로, 그가 안타깝게도 생전에 직접 완공을 보지 못한 유작이자, 그의 건축 철학이 정점에 이른 결과물로 오늘날까지 평가받고 있습니다.
1984년, 한국 현대건축의 거장 김수근은 이 잠실 대지 위에 한 편의 장대한 서사를 짓기 시작했습니다. 서울올림픽 주경기장, 그것은 단순한 스포츠 시설을 넘어, 민족의 자존과 현대 건축의 이상을 품은 기념비적 공간이었습니다. 김수근은 이 설계를 통해 자신의 일생을 관통한 건축 철학을 응축하고자 했습니다. 그는 건축을 ‘시간을 담는 그릇’이라 정의했으며, 자연과 인간, 전통과 현대를 매개하는 하나의 살아 있는 생명체로서 건축을 꿈꾸었습니다. 그가 구상한 주경기장은 대지의 흐름을 거스르지 않고, 비정형의 부드러운 곡선을 따라 자연처럼 뻗어나갔습니다. 단순한 원형이 아닌, 타원형의 비대칭 평면을 채택하여, 건축이 스스로 긴장과 이완의 리듬을 가지게 했으며, 이는 전통 건축의 처마선과 곡선미를 현대적으로 계승한 시도였습니다. 외벽과 지붕은 하나의 연속된 흐름으로, 마치 자연지형의 일부처럼, 경기장은 대지와 유기적으로 통합되었습니다. 그 속에서 한국적 정서와 국제적 보편성이 나란히 숨 쉬었습니다. 그러나 김수근은 이 거대한 꿈의 완성을 보지 못했습니다. 1986년, 주경기장이 완공되기 전 그는 세상을 떠났고, 그의 유언과도 같았던 이 건축은 동료 건축가들과 제자들에 의해 완성되었습니다. 1986년, 거대한 콘크리트 곡선과 80여 개의 콘크리트 기둥이 리듬을 이루며 마침내 모습을 드러냈고, 이는 서울이라는 도시를 바라보는 거대한 ‘프레임’이 되었습니다.
1988년, 서울올림픽의 함성과 함께 주경기장은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바로 이때, 일본의 사진가 무라이 오사무(村井勲, Osamu Murai,1928-2016)는 1980년대 동아시아 건축 기록 사진의 최전선에 서 있던 작가로서, 서울올림픽 주경기장의 순수하고 웅장한 탄생 순간을 자신만의 정제된 시선으로 포착했습니다. 무라이는 단순히 건축물을 재현적으로 기록하는 것을 넘어, 구조와 공간이 일으키는 미묘한 감응을 깊이 탐구하며, 건축물 그 자체가 스스로 발화하는 존재론적인 서사를 사진에 담아냈으며 한국 현대건축 초기 아카이브에 있어 더할 나위 없이 귀중한 사료적 가치를 지닙니다.
그리고 오늘날, 사진가 박진하(Jinha Park)는 이 기념비적인 장소에서 건축이 시간과 새롭게 맞닿는 지층을 발견하려 합니다. 박진하는 도시와 건축, 자연과 인간 사이에 겹겹이 축적된 '시간'을 핵심 주제로 삼아 오랜 시간 독자적인 사진 언어를 끈기 있게 구축해 온 작가로서, 서울올림픽 주경기장을 다시 바라보고 그 속에 담긴 이야기를 탐구합니다. 그의 렌즈는 과거의 영광스러운 빛을 되살리는 동시에, 건축에 깃든 기억의 침전과 시간의 풍화를 섬세히 직조합니다. 박진하의 이번 아카이빙 작업은 단순한 기록 행위를 넘어, 건축과 인간, 자연과 시간이라는 거대한 요소들 사이에 놓인 복잡한 관계망을 사유하는 깊이 있는 시적 행위이기도 합니다.
이번 서울올림픽주경기장 아카이빙은 건축가 김수근의 원대한 비전,
사진가 무라이 오사무의 예리한 기록, 그리고 현재 사진가 박진하의 진지한 재해석이라는
세 겹의 시간과 시선이 복합적으로 교차하며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는 특별한 ‘장(場)’입니다.
나는 지금, 세월의 흔적이 깊게 새겨진 이 오래된 경기장 앞에 섰습니다. 거대한 콘크리트 벽에 깊게 스며든 시간의 주름과, 수없이 덧칠되어 켜켜이 쌓인 페인트의 흔적들. 언젠가부터 낯설게 느껴지기 시작한 계단과 텅 빈 관중석을 눈에 담으며, 나는 스스로에게 조용히 물었습니다. 건축은 과연 무엇을 기억하는가. 그리고 이토록 오랜 시간을 견뎌온 장소는, 그 안을 스쳐 지나간 수많은 사람들과 사건들을 어떻게 기억하고 있는가.
시간은 무심히 흘러, 무라이 아사무가 이곳을 찾은 지 40여 년이 지난 지금, 잠실 주경기장은 다시 한번 거대한 변화의 물결을 맞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 그룹이 주도하는 대규모 리모델링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지만, 건축가 김수근이 남긴 원형의 공간 구조와 철학은 최대한 신중하게 보존되고 있습니다. 노후된 부분들은 숙련된 손길로 조심스럽게 보수되며, 경기장은 과거의 영광과 미래의 가능성을 잇는 새로운 다리로 조용히 거듭나고 있습니다. 2024년 7월, 나는 카메라를 들고 변화의 한가운데 놓인 이곳을 다시 찾았습니다. 나는 주경기장의 내부를 따라 아주 천천히 걸었습니다. 한 걸음, 한 걸음을 내디딜 때마다, 거대한 콘크리트 기둥 사이로 스며드는 바람과 빛, 그리고 그 틈새로 시시각각 비쳐오는 서울의 풍경이 새로운 모습으로 다가왔습니다. 주경기장 내부를 한 바퀴 완전히 돌고 나면, 우리는 마치 한 편의 길고도 깊은 서울 영화를 본 것 같은 기묘한 감각에 사로잡힙니다. 이동할 때마다 나의 Eye Level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각기 다른 위치와 각도의 창을 통해, 서로 다른 서울의 다채로운 얼굴들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집니다. 80여 개의 콘크리트 기둥은 마치 거대한 카메라의 셔터처럼, 눈앞의 풍경을 선택하고 순간을 기록하는 역할을 하는 듯했습니다. 나는 줄곧 생각했습니다. 예술은 눈에 보이는 모양이나 형태보다, 그 안에 담긴 보이지 않는 내용과 이야기가 훨씬 중요하다고. 잠실 주경기장은 단순히 철근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구조물이 아니라, 수많은 사람들의 땀과 함성, 기쁨과 아쉬움, 그리고 도시의 역사가 뒤섞인 이야기와 기억을 품은 살아 숨 쉬는 장소입니다. 하지만 이곳에 담긴 것은 단순한 스릴이나 긴장감이 아니라, 서울이라는 도시가 지나온 파란만장한 시간의 궤적과, 우리가 어쩌면 무심코 잊어버렸을지도 모를 기억들의 깊고 두터운 층위입니다. 나는 무라이 오사무가 40년 전 기록했던 그 순수했던 첫 숨결을, 이제는 격변하는 시대 속에서 새로운 시점과 감각으로 다시 포착하고자 합니다. 그의 사진이 건축물의 순수한 탄생의 순간을 정지시켜 남겼다면, 나의 사진은 끊임없이 변화를 품고 있는 기억들을, 그리고 그 변화의 과정 속에 시간에 깊이 새겨진 이야기들을 수집하고 기록하는 작업이며, 이를 통해 다음 세대에게 어떤 희망적인 제안을 건넬 수 있을지 모색하는 과정입니다.
이 사진 작업은 단순히 건축물을 아카이빙하는 차원을 넘어섭니다.
나는 이 거대한 공간을 살아있는 하나의 존재로 바라보며,
그 속을 흐르는 눈에 보이지 않는 시간의 파동과 움직임을 기록합니다.
우리가 매일 숨을 쉬고 발을 딛고 살아가는 이 도시에서, 건축은 과연 얼마나 더 오랫동안 그 자리를 지키며 버틸 수 있을까 자문합니다. 어쩌면 너무나 당연하게 언제까지나 그 자리에 서 있을 줄 알았던 그 건축물이, 어느 날 갑자기 푸른 천막으로 둘러쳐졌을 때. 그것은 마치 갑자기 맞이한 이별처럼, 온몸이 다 아플 정도의 상실감을 안겨주기도 합니다. 그 갑작스러운 작별을 미리 준비하듯, 아니면 이미 떠나보낸 소중한 건축물들을 아쉬워하듯, 나는 박진하라는 작가의 시선으로 건축가 김수근의 작업을 사진으로 남기고자 이 ‘기억의 아카이브’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잠실 주경기장 하나에 대한 기록이 아니라, 거대한 도시에 대한 기억이자, 한 시대를 풍미한 건축가에 대한 깊은 기록입니다. 1984년 무라이 오사무가 남긴 김수근의 작업, 그 이후 40년이라는 긴 세월이 흘렀습니다. 서울도, 도시도, 그리고 그 안에서 살아가는 우리도 참 많이 변했습니다. 격변의 시대를 지나고 있는 바로 이 오늘날...
건축은 때때로 도시가 직면한 특정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되곤 합니다. 개발과 보존 사이의 첨예한 갈등, 인간의 욕심과 거대한 자본의 기묘한 융합, 복잡한 심의와 허가 과정, 그리고 도시의 랜드마크를 향한 인간의 뿌리 깊은 허영심. 이 모든 과정 속에서 건축가와 건축주, 그리고 건설사는 마치 보이지 않는 곳에서 아슬아슬한 눈치게임을 벌이고 있을 뿐입니다. 이러한 도시와 건축을 둘러싼 기이한 현실과 마주하며, 나는 마치 이미 열반의 경지에 올라선 듯 초연하게 도시를 직접적으로 카메라에 담아내기 시작했습니다.매 주말마다 무거운 중장비와 카메라를 짊어지고 촬영을 떠나는 내가 갖는 심리적인 쾌감은, 매주 정기적으로 자신의 건축 현장을 찾아 변화를 마주하는 건축가의 그것과 유사합니다. 매주 다른 모습으로 변해가는 현장을 마주하는 설렘을 나는 아직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하고 생각합니다.
나의 사진 작업에서 도시가 주는 거대한 스케일이나 복잡한 형태, 완벽한 균형 따위는 더 이상 중요한 이슈가 되지 않습니다. 자본주의의 논리에 점철되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는 거대한 건물들조차, 나의 프레임 안에서는 겸손하게 자리 잡습니다. 이러한 사실 하나만으로 나의 사진은 과거의 구식적인 표현적 추상을 넘어, 지금 우리가 목도하는 현실 속에 존재하는 견딜 수 없이 연약한 진실을 처절하게 호소합니다. 그 대신 나의 프레임 안에 도사리고 있는 저 알 수 없는 성스러운 실체가 과연 무엇이냐에 따라, 내가 그 순간 서 있었던 위치를 가늠할 뿐입니다 (실제로 촬영 당시의 좌표를 기록으로 남기기도 합니다). 나의 사진은 결코 자연이나 도시 환경과의 대결 구도를 보이지 않습니다. 이는 문자 그대로의 예찬이며, 대상에 대한 인격적인 동화에 의한 초월적 상징의 모방에 가깝습니다. 우리가 평소에 본질을 담는다는 말을 이처럼 이해할 수 있거니와, 다만 작가인 나의 본질 관념은 사물 그 자체의 현존하는 에센스에 향하고 있기보다는, 이미 사라졌거나 사라져가고 있는 '부재(不在)의 현실'에 깊이 집중하여 있다는 것을 이제 우리는 받아들일 필요가 있습니다.
나는 여전히 스스로에게, 그리고 당신에게 묻습니다. 우리가 진정으로 기억해야 할 것은 건축물의 견고한 형태인가, 아니면 그 형태를 감싸고 흐르는 덧없는 시간인가. 그리고 그 형태와 시간 사이를 부유하며 새겨지는, 바로 우리 자신의 이야기인가.



COMING SOON
The Main Stadium of Memory, Architecture Upon Strata of Time:
Archiving the Seoul Olympic Main Stadium: 1984–2025
The Seoul Olympic Main Stadium, inaugurated in 1988, is more than a mere sports facility; it is a monumental edifice symbolising a dramatic turning point in the modern his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a space in which the national vision and cultural pride of the era were intensely distilled. The architect who designed this colossal structure, Kim Swoo-geun (1931–1986), was a true pioneer who ceaselessly experimented with the convergence of tradition and modernity, redefining the very identity of Korean architecture. His design transcended functional requirements and aesthetic completion, representing a profound attempt to embody the spirit and aspirations of the Korean people in a structural language. The Seoul Olympic Main Stadium stands as one of Kim Swoo-geun's final major projects, a posthumous work that he sadly did not live to see completed, and is regarded today as the culmination of his architectural philosophy.
In 1984, Kim Swoo-geun, a maestro of Korean modern architecture, began to construct a grand narrative upon this site in Jamsil. The Seoul Olympic Main Stadium, beyond being simply a sports venue, was a monumental space embodying the nation's self-esteem and the ideal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Through this design, Kim Swoo-geun sought to distil the architectural philosophy that had permeated his entire life. He defined architecture as a 'vessel containing time,' envisioning it as a living entity that mediates nature and humanity, tradition and modernity. The Main Stadium he conceived did not resist the flow of the land; instead, it extended like nature itself, following irregular, soft curves. By adopting an asymmetrical oval plan rather than a simple circle, he endowed the architecture with its own rhythm of tension and release, an attempt to modernly inherit the eaves lines and curvilinear beauty of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exterior wall and roof formed a continuous flow, organically integrating the stadium with the topography, as if it were a part of the natural landscape. Within it, Korean sentiment and international universality coexisted.However, Kim Swoo-geun did not witness the completion of this magnificent dream. In 1986, before the Main Stadium was finished, he passed away, and this architecture, which felt like his dying wish, was completed by his fellow architects and disciples. In 1986, the vast concrete curves and 80-odd concrete pillars, forming a rhythm, finally came into view, becoming a grand 'frame' gazing upon the city of Seoul.
In 1988, amidst the cheers of the Seoul Olympics, the Main Stadium revealed itself to the world. It was at this time that the Japanese photographer Osamu Murai (村井勲, 1928-2016), standing at the forefront of East Asian architectural documentation photography in the 1980s, captured the pure, majestic moment of the Seoul Olympic Main Stadium's birth with his refined gaze. Murai went beyond mere representational recording, exploring the subtle resonance between structure and space, imbuing his photographs with an ontological narrative articulated by the architecture itself. His work holds invaluable historical significance as a precious archival resource for the early period of Korean modern architecture.And in the present day, photographer Park Jin-ha is seeking to discover new strata where architecture intersects with time within this monumental place. Park Jin-ha, an artist who has patiently built a distinctive photographic language over many years, focusing on the theme of time accumulated between the city and architecture, nature and humanity, now regards the Seoul Olympic Main Stadium anew and explores the stories contained within it. His lens not only revives the light of the past but also delicately weaves together the sedimentation of memory and the weathering of time that dwell within the architecture. Park Jin-ha's current archiving project transcends a simple act of documentation; it is also a profound poetic act contemplating the complex network of relationships between architecture and humanity, nature and time.
This archiving of the Seoul Olympic Main Stadium is a special 'field' where three layers of time
and perspective intricately converge to generate new meaning:
the grand vision of architect Kim Swoo-geun, the keen record by photographer Osamu Murai,
and the earnest reinterpretation by the present-day photographer Park Jin-ha.
Standing now before this old stadium, deeply etched with the traces of time, beholding the wrinkles of time absorbed into its colossal concrete walls, the marks of countless layers of paint applied over the years, and the stairs and spectator seats that have somehow become unfamiliar, I quietly asked myself: What, truly, does architecture remember? And how does a place that has endured for so long remember us, the myriad people and events that have passed through it? Time has flowed indifferently, and now, some 40 years after Osamu Murai visited this place, the Jamsil Main Stadium is once again facing a great wave of change. Large-scale remodeling work led by the Hyundai Motor Group is well underway, yet the original spatial structure and philosophy left by architect Kim Swoo-geun are being preserved with utmost care. Dilapidated sections are being meticulously repaired by skilled hands, and the stadium is quietly being reborn as a new bridge connecting the glory of the past with the potential of the future.
In July 2024, I returned to this place, positioned amidst its transformation, with my camera. I walked slowly along the interior of the Main Stadium. With each step, the wind and light passing through the colossal concrete pillars, and the view of Seoul seen through the gaps, presented themselves in new ways. After completing a full circuit of the stadium's interior, one is struck by a peculiar sensation, as if having watched a long and profound film about Seoul. As one moves, the Eye Level constantly changes, and through different openings at various positions and angles, the diverse faces of Seoul appear in a panorama. The 80-odd pillars feel like the shutter of a giant camera, selecting and recording the scenery before one's eyes.I have always believed that in art, the unseen content and stories held within are far more important than the visible shape or form. The Jamsil Main Stadium is not merely a structure of steel and concrete; it is a living place imbued with countless stories and memories – the sweat and cheers of multitude, their joy and regret, and the interwoven history of the city itself. Yet, what is contained here is not simple thrill or tension, but the trajectory of time that the city of Seoul has traversed, and the deep, thick layers of memories we may have carelessly forgotten.
I seek to capture anew that pure first breath that Osamu Murai recorded 40 years ago, but now from a new perspective and sensibility within a turbulent era. If his photographs froze and preserved the moment of pure birth, my photographs are an endeavour to collect and record the memories that embrace constant change and the stories deeply etched in time through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thereby exploring what hopeful suggestion can be offered to the next generation.
This photographic work transcends the level of mere architectural archiving.
I regard this colossal space as a living entity,
recording the invisible waves and movements of time flowing within it.
In this city where we breathe and tread daily, I ask myself how much longer architecture can truly endure, standing firm in its place. When the architecture we naturally assumed would always be there is one day suddenly covered with a blue tent, it feels like a sudden farewell, bringing a feeling of loss so painful it affects one's whole being. As if preparing for that abrupt departure in advance, or perhaps regretting the precious architecture already sent away, I began this 'Archive of Memory' project, intending to leave Kim Swoo-geun's work as photographs through the gaze of the artist Park Jin-ha. This is not merely a record of the Jamsil Main Stadium alone; it is a memory of a great city and a profound record of an architect who defined an era. Forty long years have passed since Osamu Murai left his record of Kim Swoo-geun's work in 1984. Seoul, the city, and we who live within it have indeed changed so much. In this very present day, undergoing tumultuous change...
Architecture is sometimes presented as a solution to specific problems the city faces. The sharp conflict between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the peculiar fusion of human greed and vast capital, the complex processes of deliberation and permits, and the deep-seated vanity towards becoming a landmark. Within this entire process, the architect, the client,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are merely engaged in an invisible game of anticipating each other's moves. Confronting this strangeness surrounding the city and architecture, I began to capture the city directly through my lens, as if I had already reached a state of nirvana. The psychological pleasure I derive from setting out for shooting with heavy equipment every weekend is akin to that of an architect who regularly heads to their site every week to face its changing appearance. And I wonder if it is because I still hold onto that excitement of encountering a different appearance every week.
In my photographic work, the grand scale, complex form, or perfect balance of the city are no longer significant issues. Even buildings that continue to rise ever higher, tainted by the logic of capitalism, appear humble within my frame. This fact alone allows my photographs, transcending old-fashioned expressive abstraction, to desperately appeal to the unbearable vulnerable truth that witnesses the reality we face now. Instead, it is according to that unknown sacred entity lurking within my frame that I gauge the position where I stand at that moment (I even record the actual coordinates of the shooting location). My photographs never show confrontation with nature or the urban environment. They are, quite literally, a eulogy, an imitation of transcendental symbols achieved through empathetic assimilation with the subject. While we usually understand the phrase "capturing the essence" in this way, it is now necessary for us to accept that the artist's concept of essence is not directed towards the object itself, but is instead deeply focused on the 'reality of absence,' which has already disappeared or is in the process of disappearing.I still ask myself, and I ask you: What is it that we truly need to remember? Is it the solid form of the architecture, or is it the fleeting time flowing around that form? Or is it our own story, etched while floating between that form and time?











COMING SOON



































COMING S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