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JinHa PARK Photography GigaPixel Panorama

We have to remember that what we observe is not nature itself, 

but nature exposed to our method of questioning.

 

우리가  관측하는 것이  자연 그 본연의 모습이  아니라

우리의 탐구  방법에서 드러나는 자연의 모습이라는 걸 기억해야 한다.

                                                     

베르너 카를 하이젠베르크 

1901~1976, Werner Karl Heisenberg

‘불확정성 원리'로 노벨상 수상, 양자역학 창시자 중 한 명

Nobel Prize winner for the Uncertainty Principle,

one of the founders of quantum mechanics

Manual of Landscape

– Chapter 2

  돌과 물, 존재의 서사

  The Narrative of Stone and Water

   세상의 본질은 끝없는 순환에 있다. 돌과 물, 가장 원초적인 물질들은 끊임없이 형태를 바꾸고, 사라지고, 다시 생겨난다. 『Manual of Landscape – Chapter 2』는 이러한 근원적 존재를 카오스모스적 시각과 양자역학적 세계관을 통해 새롭게 조망한다. 이 장은 총 일곱 개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Existence', 'Essence', 'The Cycle' 세 가지 주제가 먼저 공개되었다. 세계는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무한한 생성과 소멸의 흐름 속에서 끊임없이 흔들리고 재구성되는 장(場)이다. 시간과 장소, 존재와 본질, 그리고 순환이라는 테마 아래, 사진은 우리에게 ‘보이는 것 너머’를 응시하도록 초대한다. 이 여정은 한 편의 시처럼, 한 줄기 물처럼, 우리를 근원적 감각의 문 앞에 데려다 놓는다. 세 개의 주제는 서로 고립되어 있지 않다. ‘존재’는 스스로를 밝히는 동시에 ‘본질’을 품고 있으며, ‘본질’은 반복과 흐름, 즉 ‘순환’ 속에서 서서히 드러난다. 그리고 이 모든 과정은 공간의 틀 안에서, 시간의 결 속에서, 결국 하나의 장소로 각인된다. 나는 사진을 통해 이 보이지 않는 구조를 시각화하고자 한다. 돌과 물—세상에서 가장 근원적이고도 단단한 사물들을 따라가며, 그 안에 녹아 있는 시간의 흔적, 공간의 무게, 그리고 장소가 간직한 기억의 파편들을 찾아 걷는다. ‘존재’는 순간처럼 다가와 스쳐가고, ‘본질’은 그 지나간 자리에 남겨진 가장 깊은 질문이며, ‘순환’은 그 모든 것을 다시 흐르게 하는 세상의 리듬이다. 이 세 가지는 각각 다른 층위를 품고 있지만, 결국 하나의 흐름으로 연결된다. 존재는 본질을 낳고, 본질은 순환 안에서 자신의 의미를 갱신하며 다시 존재로 돌아간다. 이 모든 일은 구체적인 장소 안에서 이루어진다. 하나의 바위가, 하나의 해안선이, 마른 이끼의 흔적이 세상의 시작과 끝을 동시에 품고 있다는 사실. 시간이라는 비가시적 층위 안에서 장소는 단순한 지리적 배경이 아니라, 존재가 드러나는 무대가 된다. 나의 사진은 그 흐름을 따라가는 여정이다. 시간과 장소를, 존재와 본질을, 그리고 순환의 패턴을 품은 어떤 근원적 이야기의 조각들을 셔터로 새겨나가는 기록이다. 돌과 물이라는 사물은 언제나 같은 자리에 있는 듯하지만, 실은 다르게, 다르게 다시 돌아오는 세계의 언어다. 나는 그 언어의 문장 하나하나를 읽고, 조용히, 그러나 명확하게 응답하고자 한다.

1. Existence

– 존재의 명백함과 미세함 사이에서

 “그곳에 있었다. 그러나 아무도 보지 못했다. 존재란 그렇게, 스스로를 감춘다.”

  존재는 한순간의 현현이다. 돌 위로 물방울이 떨어지고, 바람이 한 번 지나간다. 그 순간만큼은, 모든 것이 '있다'는 것을 나는 알 수 있다. 하지만 다음 순간, 그것은 이미 사라져 있다. 그래서 존재는 늘 지각의 가장자리에서만 느껴진다. 눈에 보이기보다, 마음에 닿는다.

나는 그 미세한 흔적을 따라 걷는다. 시간이 스쳐간 자리, 햇살이 닿았던 표면, 사라진 물결이 남긴 선. 존재는 공간 안에 머물지 않는다. 그것은 시간의 잔상 속에서 겨우 붙잡힌다. 내가 기록하는 것은 장소가 아니라, 존재가 흘렀던 자리다. 그 장소는 지도에 없는 좌표다. 그것은 기억의 퇴적층이고, 감각의 저편이다. 존재는 언제나 장소 속에서 자신을 비추되, 결코 고정되지 않는다. 그것은 스쳐가는 바람처럼, 단단하지만 붙잡을 수 없는 상태로 나를 지나간다. 존재에 대해 질문하게 되는 순간부터, 나는 공간을 걷기보다는 시간 속을 떠도는 감각에 가까워진다. 존재는 어떤 형태로 드러나기보다, 시간의 흐름 속에서 부유하며 가끔씩 그 모습을 드러낸다. 돌 하나, 물결 하나도 언제나 그 자리에 있는 것 같지만, 그것은 이미 과거이며 동시에 미래를 향한 연속적인 상태다. 이 사진들이 포착하는 것은 고정된 풍경이 아니다. 바람이 지나가고, 빛이 스쳐가며, 파도가 다시 흔적을 남기는 그 찰나의 시간 속에서 나는 존재가 감지되는 순간을 목격한다. 그것은 영원하지 않지만 그 순간만큼은 확실히 있다. 존재는 시간 속에 스며 있고, 그 스침이 곧 장소를 만들어낸다.나는 이 장소들이 특정한 위치의 이름이나 지리적 좌표가 아니라, 존재가 잠시 머문 자리로서의 장소성에 주목한다. 물이 지나간 흔적, 이끼가 낀 바위의 그늘, 말라붙은 해조류—모두가 하나의 ‘존재적 흔적’이다. 장소는 결국 존재가 지나간 시간의 층위이고, 그 안에서 우리는 ‘여기’에 있음을 느낀다.

이 시리즈에서의 ‘존재’는 정지된 장면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 담긴 시간과 공간의 복합적인 결은 관객으로 하여금 존재하는 것에 대해 다시 묻게 만든다. 존재는 언제나 구체적인 장소 속에서 시간과 얽히며, 그 미세한 흔적을 통해 우리 앞에 드러난다.

2. Essence

 – 본질의 맥락과 결

  “본질은 중심에 있는 것이 아니라, 주변의 결에서 드러난다.”

  우리는 흔히 본질을 대상의 가장 깊은 곳, 그 중심에서 찾으려 한다. 그러나 내가 만난 본질은 대체로 그 반대편에서 다가왔다. 가장 바깥의 표면, 반복되는 리듬, 조금씩 변하는 결. 본질은 외곽을 따라 흐르며, 수많은 경계를 지나면서 자신을 드러낸다. 돌 위에 자란 이끼, 바위에 부딪힌 파도, 말라붙은 조개껍질의 곡선—나는 이런 사소한 디테일 속에서 본질의 흔적을 발견하곤 했다. 그것은 장엄하거나 신비로운 것이 아니라, 지극히 일상적이고 오히려 조용한 것이다. 본질은 소리치지 않는다. 그것은 기다림 속에서, 반복 속에서, 마침내 고요히 드러난다. 나는 본질을 어떤 고정된 진리로서가 아니라, 관계의 흐름 속에서 정의하고자 한다. 그것은 돌과 물이 만나는 방식, 빛이 물결 위에서 흩어지는 패턴, 해안선과 구름의 거리를 측정하는 느낌 같은 것이다. 이 시리즈는 그러한 본질의 흐름을 따라가는 시각적 탐구다. 본질은 사물 그 자체가 아니라, 그것이 세계와 맺는 관계의 감각이다. 사진은 본질의 표정을 포착하는 예민한 장치다. 그러나 그것이 가능하려면 사진가의 시선은 중심을 벗어나야 한다. 나는 종종 프레임의 가장자리, 빛이 꺼지는 순간, 파도가 돌아서기 직전의 찰나를 바라본다. 본질은 그처럼 미세한 균열 속에서 우리를 향해 다가온다. ‘Essence’라는 주제는 존재와 순환 사이의 다리와 같다. 본질은 존재의 잔여이자 순환의 기원이며, 그 둘을 매개하는 감각의 패턴이다. 나는 그것을 통해 세상이 어떻게 흘러가는지를, 그리고 그 안에서 인간이 어디쯤 놓여 있는지를 바라본다.

이 작업은 결국 세계를 더 깊이 이해하려는 나의 시도이며, 가장 작고 느린 것에서 가장 근원적인 의미를 찾아가는 여정이다.

3. The Cycle

 – 반복되는 시간의 비밀

  “모든 것은 흘렀고, 다시 그 자리에 돌아왔다. 그러나 결코 같은 모습은 아니었다.”

  세계는 순환한다. 돌은 풍화되어 흙이 되고, 흙은 물과 뒤섞여 다시 바위를 만든다. 물은 이끼를 키우고, 이끼는 다시 물을 이끌어 돌의 표면을 덮는다. 이 모든 순환은 거대한 시계처럼 반복되지만, 그 안의 시간은 결코 선형적이지 않다. 되풀이되는 듯하지만, 매번 다르고, 겹겹이 축적된다. 나는 이 흐름 속에서 인간이 얼마나 작은 단위로 살아가는지를 자주 깨닫는다. 우리의 시간은 ‘하루’나 ‘계절’로 이해되지만, 돌의 시간은 수천 년이고, 물의 시간은 단 한순간의 찰랑임이기도 하다. 사진은 이 서로 다른 시간 단위들이 겹쳐지는 장면을 기록하는 도구다. 그 한 장면 안에는 지금과 오래전, 흐름과 정지, 생성과 소멸이 동시에 담긴다. 순환의 풍경은 종종 가장 추상적인 형상으로 다가온다. 바위의 표면에 새겨진 침식의 문양, 해조류가 사라지고 다시 돌아온 자리, 밀물과 썰물의 반복 속에 드러나는 갯벌의 주름. 이 모든 흔적은 시간의 손글씨다. 순환은 공간 위에 자신을 반복적으로 남긴다. 그렇게 장소는 더 이상 현재만의 것이 아니며, 지난 시간과 다가올 시간을 동시에 품는다. 이 주제 속에서 나의 시선은 일종의 의식처럼 반복되는 장면들을 좇는다. 같은 자리를 다시 찾고, 같은 구조물을 다른 계절에 마주하며, 같은 빛의 방향을 다시 기다린다. 순환이란 시간의 낭비가 아니라, 의미의 갱신이다. 같은 것을 다시 본다는 것은, 다른 시선으로 본다는 것이기도 하다. 인간은 이러한 거대한 순환 속에서 무엇을 해야 할까. 혹은 무엇을 그저 멈추고 바라보아야 할까. 이 사진들은 어떤 해답을 주지는 않지만, 확실한 질문을 남긴다. 우리는 어디에서 왔고, 지금 어디를 지나며, 어디로 돌아갈 것인가. 순환은 존재와 본질을 연결하는 다리이며, 그 흐름 안에서만 진실은 천천히 드러난다.

나는 이 반복의 장면들을 모아, 셔터 속에 고요히 아카이빙한다. 그것은 사라지지 않는 어떤 마음의 연습이자, 삶의 리듬과 자연의 리듬이 겹쳐질 수 있는 가능성의 자리다. 물결은 늘 같지만 늘 다르고, 바위는 변하지 않는 듯하면서도 끊임없이 다시 쓰인다. 이 모든 것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4. Coming Soon

5. Coming Soon

6. Coming Soon

7. Coming Soon

JinHa PARK Photography GigaPixel Panorama

Manual of Landscape – Chapter 2
The Narrative of Stone and Water

These three themes—Existence, Essence, and The Cycle—do not stand in isolation. Existence reveals itself while holding within it Essence, and Essence gradually discloses itself through repetition and flow, that is, through The Cycle. And this entire process is inscribed within the frame of space, woven through the fabric of time, and eventually imprinted upon a singular place. Through photography, I seek to visualise this invisible structure. I follow stone and water—those most fundamental and enduring elements of the world—in search of the traces of time, the weight of space, and fragments of memory held within each place. Existence approaches like a fleeting moment. Essence is the deepest question left in its wake. The Cycle is the rhythm of the world that sets everything once more into motion. While each of these contains a different stratum of meaning, they are ultimately linked in a single flow: existence begets essence, essence renews itself within the cycle, and the cycle returns once again to existence.  All of this unfolds in a specific place. A rock, a shoreline, a patch of dried moss—these may hold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world simultaneously. Within the intangible stratum we call time, place ceases to be mere geographical background and instead becomes the very stage where existence is revealed.

My photography is a journey that traces this flow. It is a record, inscribed with the shutter, of fragments from a primordial story—of time and place, of existence and essence, and of the patterns of the cycle. Stone and water may seem always to be in the same place, but in truth they return differently each time. They are the language of a world that is never static. I read each sentence of that language, and respond—quietly, but with clarity.

1. Existence

– Between the Obvious and the Subtle
"It was there. And yet, no one saw it. Existence conceals itself in this way."

Existence is a momentary manifestation. A droplet falls upon stone. A gust of wind passes through. For that brief instant, I know everything is. And in the very next, it has already vanished. Thus, existence can only be felt at the edges of perception. It is not so much seen as sensed. I walk along the traces of these subtleties. The surface once touched by sunlight, the line left behind by a retreating wave. Existence does not dwell in space—it is barely caught in the afterimage of time. What I record is not the place itself, but the path where existence once flowed. Such a place does not appear on any map. It is a sediment of memory, a realm beyond immediate perception. Existence reflects itself within a place, but never fixes itself there. It passes by me like the wind—solid yet impossible to grasp.

To ask about existence is to begin moving not through space, but through time. Existence drifts within the stream of time, occasionally revealing its form. A stone, a ripple—they seem fixed in place, but are already of the past and reaching toward the future, in a state of continuous becoming. These photographs do not capture a still landscape. In the fleeting time when wind passes, light glimmers, or waves leave a mark, I witness a moment when existence becomes perceptible. It is not eternal, yet in that moment, it truly is. Existence seeps into time, and that touch gives rise to place. These places are not defined by coordinates or names, but by the fact that existence once lingered there. The trail of passing water, the shaded crevice of a moss-covered rock, a patch of dried seaweed—each is a "trace of existence." A place is, ultimately, a stratum of time where existence once passed, and within it we sense our own being—our here.

The 'Existence' depicted in this series may seem like a frozen frame, but the layered fabric of time and space within each image prompts the viewer to question what it means to be. Existence always reveals itself through subtle traces, woven into a specific place and time.

2. Essence

– The Texture and Context of the Essential
"Essence does not reside in the centre, but reveals itself in the texture of the periphery."

We often seek essence at the core of a thing, in its deepest centre. Yet the essence I have encountered emerges from the opposite direction. From outer surfaces, repeated rhythms, subtle textures that shift ever so slightly. Essence flows along the edges and shows itself as it passes through countless thresholds. The moss on a rock, waves crashing against stone, the delicate curvature of a dried seashell—within these humble details, I often discover the traces of essence. It is neither grand nor mystical, but ordinary, quiet, even modest. Essence does not raise its voice. It reveals itself slowly, through patience and repetition. I do not define essence as a fixed truth, but as something that arises through relationships. It is the way stone meets water, how light scatters across rippling surfaces, the intuitive measurement of distance between a coastline and passing clouds. This series is a visual exploration of that flow. Essence is not in the object itself, but in the sensorial patterns it forms with the world. Photography is a sensitive apparatus for capturing the expressions of essence. Yet to achieve this, the photographer’s gaze must move beyond the centre. I often look toward the margins of the frame, at the moment just before the light fades, or just before the wave recedes. It is in these delicate ruptures that essence begins to reach out to us. The theme of ‘Essence’ stands as a bridge between Existence and The Cycle. It is the residue of the former and the origin of the latter. It mediates both through the patterns of perception. Through essence, I ask how the world flows, and where within it the human resides. This work is ultimately a pursuit to understand the world more deeply—a journey to discover the most fundamental meaning in the smallest, slowest of things.

3. The Cycle

– The Secret of Repeating Time
"Everything passed, and returned to its place. But never in the same form."

The world revolves in cycles. Stone weathers into soil, which mingles with water to form rock once more. Water nourishes moss, which in turn gathers moisture to cover the face of stone. This cycle repeats like a vast clock, yet the time it marks is not linear. Though it repeats, each moment is different—layered and accumulated. Within this flow, I often become aware of how minute human time is. While we measure time in days or seasons, the time of stone spans thousands of years, and the time of water may be but a single splash. Photography is a tool that captures the overlap of these differing temporal scales. In a single frame, the now and the ancient, the flowing and the still, creation and decay coexist. The landscape of the cycle often appears in the most abstract of forms: erosion marks carved into stone, the absence and return of seaweed, the rippling lines of tidal flats revealed through the ebb and flow of the sea. Each trace is a handwritten script by time itself. The cycle leaves its marks repeatedly across the surface of space, so that a place ceases to belong only to the present—it contains both the past and what is yet to come.  My gaze, within this theme, follows scenes that repeat almost like a ritual. I return to the same spot, face the same structure in a different season, wait again for the same light. The cycle is not a waste of time, but a renewal of meaning. To see the same thing again is to see it with new eyes.  What, then, should humanity do within such vast cycles? Or rather—what should we simply stop and behold? These photographs do not offer answers, but they leave behind resolute questions. Where have we come from, where are we now, and where shall we return? The cycle is the bridge that connects existence and essence, and only within its flow does truth slowly emerge.  I gather these scenes of repetition and archive them within the shutter. It is a quiet rehearsal of the heart that does not fade, and a space of possibility where the rhythms of life and nature may overlap. The waves are always the same, and always different. The stone seems unchanged, yet is ceaselessly rewritten. All of this is still continuing, even now.

4. Coming Soon

5. Coming Soon

6. Coming Soon

7. Coming Soon

© 2019~ 2025 JinHa PARK PHOTOGRAPHY     All Right Reserved .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