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21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메타수묵의 길, 생동하는 수묵의 새로운 출발 
​2021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총감독 이건수

2021. 9. 1 - 10.31

​  제2회 전남 국제수묵비엔날레는 '오채찬란 모노크롬'이라는 주제가 의미하듯 다채로운 현대수묵의 모습으로 구성된다. 옛 화론에 나오듯이 먹빛 속에 적, 흑, 청, 황이라는 우주의 색이 다 들어 있다는 의미, 그래서 먹빛은 완전한 색이라는 의미와 함께, 먹빛을 표현함에 있어서 그 다양한 기법과 표현 방식에 따라 먹은 그 한가지의 색에만 머무르지 않는 다채로움을 품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노크롬은 직역하면 단색이라는 말로 표현될 수 있으나 수묵의 의역어로서 수묵이 지니고 있는 미니멀한 색채와 정신세계를 대변하는 단어라 할 수 있다. 수묵이라는 단어가 재료적 성질을 강하게 품고 있으면서 우리 언어중심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라면 모노크롬은 그런 제한을 뛰어넘는 좀 더 국제적인 수묵의 또 다른 표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온갖 색채가 화려한 단색화, 채색으로 빛나는 수묵이라니 모순으로 보이지만 수묵이 갖고 있는 다이내믹한 힘과 기운생동하는 생명력을 반어적이고 역설적으로 드러내고 싶다는 의지가 담긴 제목이라 하겠다.따라서 이번 수묵비엔날레는 블랙과 화이트라는 수묵의 단순화된 양식에서 벗어나 우리시대에 맞는 다채로운 수묵의 변화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한국화는 채색화 전통과 수묵화 전통으로 구분된다. 채색화는 주로 벽화나 민화 같은 색채를 활용하기에 거리낌이 없었던 시대의 그림이고 수화는 주로 문인화 같은 선비나 양반의 정신세계를 표현하는 책의 기운과 문자의 향기가 가득 담긴 그림이다. 먹의 가치를 색의 효과 보다 높이 샀던, 그리고 그 속에서 육체성 보다는 정신성을 발견하고자 했던 그림이다. 어찌 보면 이번 수묵비엔날레는 채색화의 전통과 수목화의 전통이 어우러진 온전한 한국화의 정체성을 재발견하고 우리시대 수묵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해 보는 의미 있는 기회이다. 그래서 '오채찬란 모노크롬; 과격하게 직역하면 '컬러풀한 수묵'이라는 역설적인 의미의 주제를 만들게 되었다.

 

  지난 제1회 수묵비엔날레가 우리 수묵의 전반적인 지형도를 보여준 전시였다면 이번 비엔날레는 수의 확산과 외연을 통해 질적인 의미의 쇄신을 이루고자 했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수의 고답적 인상과 지엽적 편견을 이제는 떨쳐내야 할 때가 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지나간 시대의 철학과 관념에 젖어 있는 화풍을 고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정신적 유산을 되살려 어떻게 현대적 시각에서 보편적인 공감대를 획득하게 만들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모색해야할 시기다.미술시장에서 언제나 뒤편에 물러나 있는 수의 소비적 현실, 전통화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괄시하고 무시하는 정책적 현실은 전통화에 계보를 잇는 모든 화가들에게 좌절과 실망을 안겨다 주고 있다. 이런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서 우선 수묵이 널리 소비되고 소통되는 환경을 만들어야 하겠다. 우리의 의식주에 우리의 미적 정신이 녹아들어갈 수 있는 생활 속의 수묵으로 살려내야 한다.'수묵의 대중화'는 '대중의 수묵화'에서 비롯된다. 수묵의 미적 가치를 대중들이 인식하고 즐겨 향유할 수 있는 작품들이 많아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우리의 정체성 있는 스타작가들을 발굴하고 탄생시켜야 하겠다. 수묵비엔날레가 주안점으로 삼고 있는 '수묵의 국제화'는 한국미술의 근원적 정체성을 숙고하고 미래지향적인 설계를 구체적으로 실행함으로써 가능해질 것이다. 서구미술사의 논리로 확고하게 구성된 세계미술의 판도에서 우리의 지역성을 오히려 더 특수화 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글로벌리즘의 판형 위에 로컬리즘이라는 컨텐츠를 재발견하여 획일화된 세계화를 극복하고 새로운 출구를 제시할 수 있는 수준 있는 글로컬리즘을 획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K팝을 위시한 한류의 방법론은 차별화된 국제화로 인해 성공 가능했다. 한국미술의 한류를 꿈꾸는 이번 수묵비엔날레는 우리의 고유한 미감과 미적 정서의 전통이 얼마나 세계적인 보편성을 획득할 수 있는가를 모색하고 실험하는 수묵 브랜드의 론칭 장이었으면 좋겠다. 수묵이 하나의 브랜드가 되어 우리의 미술계뿐만 아니라 생활 환경 전반에서 소중한 가치를 지니며 대우 받고 소비될 수 있기를 소망한다. 수묵비엔날레가 우리의 미감이 지닌 우수성을 재발견하고 그것이 여러 다른 미적 성취들 사이에서도 생존력을 지닐 수 있게 하는 미의 향연이 되길 기대한다.

  작년 9월 말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특별기획전 〈부릉부릉 수묵시동>을 개최했다. 도시재생과 지역청년예술인과의 협업을 추구하며 목포 근대문화유산의 거리를 중심으로 약 한달 동안 열린 특별전은 짧았지만 많은시사점도 보여주었다. 먼저 태풍과 홍수 등 자연재해와 코로나19로 인한 여러 방해요인을 돌파하는데 많은 수고가 필요했고, 현대미술을 수용할 수 있는 전시공간의 부족은 여전히 비엔날레가 극복해야할 숙재로 남겨졌다. 참여작가들 중 상당부분의 작가를 한국화과 출신으로 선정했는데도 많은 사람들이 전통적인 수묵화가 없어서 놀라는 기색도 관찰할 수가 있었다. 그만큼 현대수묵의 표현 방식과 소통 방향이 많이 달라졌음을 이해해야할 필요가 있다는 정도 지적하고 싶다. 우리시대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수목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요구되는 것이다. 우리시대의 수묵을 알기 위해서는 우리 전통회화의 전개과정과 방법론도 알아야 하지만 우리시대 미술의 현재적 위상과 구조 체계 또한 알아야 한다.

  전남 목포와 진도는 우리 전통예술의 고향으로서 수묵이라는 콘텐츠를 잡았다. 수묵화비엔날레라고 하지 않고 수묵비엔날레라고 한 것은 전통 수문화를 옛 법에만 한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우리 시대의 수묵화로 진화시키기 위한 올바른 결정이었다고 생각된다. 지필묵이라는 전통적 재료나 수묵산수를 중심으로 한 고답적 내용의 수묵화적 전통을 계승하는 데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그 재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수묵정신을 담은 모든 현대미술을 수용하겠다는 의지가 강하게 드러난 명칭이라 할 수 있겠다. 수묵정신이라는 것은 분명 서구 미술사의 전개 과정과는 다른 역사적·사상적 배경과 유래를 지닌 예술의지를 의미하며, 그 정신 속에서 우리 미술의 고유한 정체성과 창의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비엔날레라는 국제적이고 현대적인 미술행사를 진행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적이고 전통적인 미술의 모습은 밑바탕에 자리 잡으며 균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 전통의 재현과 답습을 지속하면서 지나간 시대의 가치관을 고정시키는 인간문화재 발굴이 아니라는 사실을 인정해야한다. 현재 진행형의 수묵의 모습을 보여주고 과거의 역사적 수묵은 오리지널리티를 보여주는 근원적 가치로서 소개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속에서 미래의 가능성을 발견하여 수묵에 새로운 생명력을 부여하는 것이 수목비엔날레의 올바른 방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오래된 미래와 새로운 과거가 공존하고 교차하는 미술 소통의 장이 될 때 수묵비엔날레는 진정한 역할을 다했다고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비엔날레는 대개 시대와 예술과 지역이라는 세 가지 축으로 구성된다. 전통성과 현대성, 전문성과 대중성, 국제성과 지역성이라는 세 가지 축이 교차되는 지점에 비엔날레의 위상이 정해진다. 이번 수묵비엔날레는 전통의 가치를 되살리는 현대성, 전문성의 차원을 넘어선 보편적인 예술언어, 국제적 2021 전남 국제수묵비엔날레 감각과 지역적 특성을 동시에 획득하는 차별화된 비엔날레로 구성하려 한다. 물론 그 중심에는 수묵화가 있다. 비엔날레가 소수 미술인들의 축제로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미술에 친숙하지 못했던 일반인들에게 다가서는 비엔날레가 되기 위해선 어느 정도의 시간적 준비와 예술적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사실 현재 목포나 진도에서 현대미술을 개념에 맞도록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전시 공간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그 제한된 현실 속에서 이번 비엔날레의 승부수는 전시 내용의 진실성과 다른 비엔날레에선 느낄 수 없는 경험의 차별성이라 할 수 있겠다.

  이번 비엔날레의 주요한 관점의 하나는 어떻게 생활 속에 우리의 수묵문화를 젖어들게 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이다. 우리의 일상복 속에 우리의 전통적인 미감과 디자인 정신을 담고, 우리의 음식을 담는 그릇 속에 서양식 요리와는 다른 철학을 세팅하고, 우리의 가구나 집 속에 사물과 공간이 차지하는 여백의 정신을 담는다면, 한계에 도달한 획일화된 의식주 문화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전통을 지금 우리시대의 생활 속에 되살리는데 그것도 수묵화의 부활 속에서 모색해보자는 게 이번 비엔날레의 저변에 담긴 취지이다. 브라질의 보사노바나 아르헨티나의 탱고라는 리듬이 전 세계에서 보편성을 획득했던 이유는 그 리듬을 피아노, 베이스, 드럼이라는 재즈 트리오의 보편화된 악기로 전 세계 연주자들이 연주할 수 있도록 녹여낸 데 있다. 그렇다면 우리의 전통수에서 느껴지는 고유한 뉘앙스를 보편화된 구조 속에 녹여내는 것을 성공할 때 우리 수묵의 국제화, 대중화, 브랜드화는 가능해 질 것이라 확신한다. 아쉽게도 출품되지는 못했지만 이번 비엔날레의 정신을 담은 가장 대표적인 작품을 들라면 나는 수화 김환기의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라고 말하고 싶다. 그것은 '수정신'을 담은 진정한 '우리시대의 수묵화'이다. 그것은 우리의 현대미술이 서양미술사의 전개 과정 끝에 주입된 외래적인 파생물이 아니라, 우리 고유의 미학적 전통의 장구한 흐름 속에서 축적되고 농축된 질감과 감성에서 형성된 것임을 증거한다. 영화 〈기생충>의 성공과 함께 마틴 스콜세지 감독의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란 말이 많이 회자되었다. 과연 오롯이 한국적인 것이 있을까마는 오래 전에 김환기는 말했다."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

  이번 비엔날레는 전라남도의 전역과 연계하여 묵향을 퍼트린다. 목포와 진도를 중심으로 한 본 전시, 광주 아시아문화전당과 신안 조희룡미술관을 포함한4개의 특별전, 그리고 9개 시군의 기념전 등이 펼쳐진다. 본 도록에 실린 전시만을 개략적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비엔날레1관 (현대수전》은 수의 진화 과정을 거치면서 시대와 경계를 초월해 어떻게 타 장르와 뒤섞이고 흔적을 남겼는지,'서양화 같은 동양화, 동양화 같은 서양화가 전시된다. 비엔날레2관 <전통의 맥전》은 수목전통의 모티프를 품고 있으면서 수 무화와 채색화가 함께 어우러진 한 국화의 완성된 포용력을 보여주는 전시이다. 비엔날레3관 〈수묵정신전》은 지필묵이라는 본래적 재료와 기법을 초월하여 어떻게 수묵의 정신성이 구현되는가를 보여주는 국내외 작가들의 전시이며, 코로나19 이후의 대안적 전시방법에 대한 제안으로써 거대화면에 미디어 동영상 형식으로 전개되는 전시이다. 시공간적 제한을 극복하려는 시도가 되겠다. 역시 비엔날레3관 〈신세대 도원경전〉은 90년대 포스트모던 이후의 젊은 세대 작가들이 펼치는 사적이고 일상적인 스토리텔링으로 소소한 감수성을 느끼게 해주는 전시이다. 진도의 운림산방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비엔날레 4, 5관 〈생활 속의 디자인 수묵전〉은 우리의 의식주에 어떻게 수정신이 녹아들어갈 수 있을까를 모색하지만 단순히 직접적인 디자인의 표출이 아니라 그 디자인의 원천이 될 수 있는 순수한 수묵적 정신성에 초점을 맞춘다. 비엔날레6관의 <묵연(4%)전〉은 한국·홍콩 작가의 교류전으로 전라남도 작가들과 홍콩 작가들의 상생과 화합의 수묵이야기를 펼친다. 특별전 중의 하나인 광주 아시아 문화전당의 〈의재와 남농의 화맥전>은 소치 허련으로부터 내려오는 남도의 화맥과 그 계보를 정리할 수 있는 전시이다.

수묵은 물로 쓴 그림이다. 물로 그린 글씨다. 물이라는 유동성의 액체는 정지와 운동 사이에서 흔들린다. 변화하고 생성하며 자유롭다. 낮은 곳으로 스며들라 하고 텅 빈 곳을 채우려 한다. 완전히 제어할 수 없는 이 지극한 자연스러움을 의미 있게 길들이는 것이 문명이고 치수(가)이다. 치수는 길을 만들고 그 길은 평안을 낳는다. 진수무향(X), 참된 물은 향기가 없다. 모든 덧입혀진 것들을 제거하고 수묵은 결국 무채색의 빛나는 아우라를 방사한다. 이 얼룩진 빛남 속에서 삶의 속됨과 불순물들은 정화되어 사라진다. 그러나 그 모노크롬의 잿빛은 모든 색채의 찬란함을 알고 있으며 그 광채의 시작과 끝에 자리하는 것이다.

물과 먹에 묻는다. 길은 어디에 있는지.

Pavilion 1. 목포 예술회관

A "Meta-SUMUK": A New Beginning for Vibrant SUMUK Lee Gun Soo, Artistic director, 2021 Jeonnam International Sumuk Biennale ​ As its "Splendor of Monochrome" theme indicates, the second Jeonnam International Sumuk Biennale presents colorful contemporary SUMUK (ink wash) paintings. In the painting theory of yore, the color of ink was said to contain all the colors of the universe: red, white, black, blue, and yellow. In addition to conveying the idea that ink was a "complete" color, the theory also expressed ink's multiplicity and the way it varies as it is applied with different techniques and expressive styles, rather than remaining bound to any one color. The literal meaning of "monochrome" is "one color," but in the freer interpretation associated with SUMUK, the term represents SUMUK's minimal use of color and its spiritual world. While SUMUK itself is a Korean term that possesses strong associations with material properties, "monochrome" can be seen as another word for a more international version of SUMUK - one that transcends such limitations. Phrases such as "splendidly colorful monochrome" and "the brilliant hues of SUMUK" may seem like oxymorons, but the biennale's theme is an expression of an ironic, paradoxical desire to display SUMUK's dynamic force and vibrant vitality. In this sense, this year's biennale looks to move beyond the simplified "black-and-white" form of SUMUK and explore the transformative potential for a "colorful" SUMUK suited to the present. The traditional approaches of Korean painting are divided into "polychrome" (CHAESAEKHWA) and "ink wash" (SUMUK). Polychrome paintings belong to an era during which artists felt free to use color, chiefly in genres such as wall art and folk art. SUMUK paintings, in contrast, predominantly expressed the spiritual world of Confucian scholars (SEONBI) and nobles, brimming with the energy of books and the fragrance of script - as seen in MUNINHWA, or "literati painting." SUMUK paintings prioritized the values associated with ink over the effects of color, seeking to find spirituality rather than physicality. In a way, this year's biennale is an opportunity for rediscovering the full identity of Korean painting as a combination of polychrome and ink wash traditions while exploring new possibilities for contemporary SUMUK. This was the context behind the decision to adopt the paradoxical "Splendor of Monochrome" theme, with its connotations of "colorful SUMUK." If the first Jeonnam International Sumuk Biennale presented the overall lay of the Korean SUMUK landscape today, then this second edition aims to promote the SUMUK genre and broaden its scope to transform its qualitative associations. trom my point of view, it is time for us to set aside the highbrow connotations and petty preconceptions that are typically associated with SUMUK. By this, I do not mean that we must simply adhere to a painting style steeped in the philosophy and ideas of bygone eras. Rather, we should seek concrete approaches to resurrect its spiritual legacy and help it to gain universal recognition from a contemporary perspective. SUMUK's perpetual relegatation to the margins of the art world, and the general disparagement and disregard with which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raditional painting is viewed in policy, have been sources of great frustration and disappointment for all artists working to carry on traditional paintings lineage. To overcome this, we first need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SUMUK is widely consumed and circulated. We must resurrect "everyday SUMUK" to infuse a Korean aesthetic spirit into the essential parts of our lives, such as clothing, food, and shelter. The popularization of SUMUK can be achieved by gearing it to the public.  This means that many artworks that allow the public to recognize and appreciate the aesthetic value of SUMUK must be produced. Hence, we need to identify and promote star artists who possess a distinct identity. The internationalization of SUMUK," one of the biennale's focal points, is made possible by contemplating the basic identity of Korean art and practicing concretely with future oriented approaches. We need to specialize in Korea's regional character even more in a world art environment firmly defined by the logic of Western art history. We must establish a superior form of globalism, rediscovering a localist context in a globalist environment and proposing new avenues as we overcome the limits of uniform globalization. The Korean Wave, as exemplified by the K-pop music genre, has succeeded through differentiated forms and methods of globalization. With its aspirations toward achieving a "Korean Wave in art," the biennale should be an occasion for launching a SUMUK "brand" that explores and experiments with the extent to which Korea's unique traditional aesthetic sense can establish a universal aspect. My hope is to see SUMUK transform into a brand that is respected and consumed as something of great value not only in the Korean art world, but in all environments of our lives. I want the Jeonnam International Sumuk Biennale to be a banquet of art where we can rediscover the excellence of the Korean aesthetic and enable it to survive even among the various aesthetic achievements around us. In late September 2020, a special exhibition titled VROOM VROOM SUMUK GO GO! was held at the first Jeonnam International Sumuk Biennale, An urban renewal effort that brought young local artists together to collaborate, it ran for about a month, primarily on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streets" of Mokpo. Despite its short duration, it communicated many messages. To begin with, a great deal of effoxt went into overcoming the various potential obesacles of the COVID-19 pandemic and natural disasters such as typhoons and flooding. The lack of exhibition spaces that could accommodate contemporary art temains an issue to be addressed by Although many of the partidy ating artists came from an Korean painting background, quite a few visitors were visibly taken aback at the absence of traditional SUMUK painting. This is one of the reasons I wish to underscore the need for us to understand how much contemporary SUMUK has changed in its expressive styles and communicative approaches. We need a new attitude, one that views SUMUK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ow. To be sure, we must understand the development and method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 to understand contemporary SUMUK, but we also need to know about the current status of contemporary art and its structural system. As home bases for Korean traditional art, the city of Mokpo and island of Jindo in Jeollanam-do selected SUMUK as a form of content. The decision to use the term SUMUK rather than SUMUKHWA (literally meaning "SUMUK painting) in the biennale's title appears to have been the right call in terms of fueling the evolution of contemporary SUMUK rather than confining it to traditional painting methods. Instead of simply carrying on the highbrow tradition of old SUMUK paintings, which center on landscape art and the traditional materials of "paper, brush, and ink" (JI-PIL-MUK in Korean), the name expresses a strong desire to transcend the limits of those materials and embrace all contemporary art forms that can embody the SUMUK spirit. By "SUMUK spirit," I am referring to an artistic will with a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background that is clearly different from the narrative of Western art history; within this spirit, we can discover an identity and creativity that are unique to Korean art. To carry out a contemporary international art event such as a biennale, there must be an existing foundation of traditional regional art to help to sustain a balance. We must recognize that the correct approach is not one of discovering human cultural heritage with which to carry on recreating and retreading the traditional, cementing bygone values in place. It is one that shows the ways in which SUMUK continues to progress, with the historical SUMUK of the past acting as a shared foundational value that maintains its own originality. The right direction for the Jeonnam International Sumuk Biennale is also one that discovers the future potential within the genre, introducing a new element of vitality to SUMUK. The biennale can be seen as having truly fulfilled its role when it becomes a venue for artistic communication where an "old future" and "new past" coexist and intersect. In general, biennales are organized around three axes: eras, art forms, and regions. Its place is defined where those three intersect: traditional/contemporary, expertise/popular appeal, and global/local. With this year's biennale, we aim to distinguish the event as one characterized by a modernity that restores the value of tradition; a universal artistic language that transcends "expertise"; and a simultaneous global sensibility and local charact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UMUK is central to all of these qualities. For a biennale to be more than just a festival for a select few artists- for it to be an event accessible to members of the public who are not familiar with art-it requires time, preparations, and a proper artistic environment. In truth, neither Mokpo nor Jindo has much, if anything, in the way of exhibition spaces where contemporary artworks can be displayed freely in ways tailored to their underlying concepts. Under such constraints, the success of this biennale can be said to hinge that cannot be had at other events. on the authenticity of its exhibition content and the distinct experience it provides One of the biennales key perspectives relates to questions of how Korean SUMUK culture can be infused into people's everyday lives. New alternatives for the culture that surrounds our clothing, food, and shelter — areas that have reached the limits of uniformity - can emerge when we embody a traditional Korean aesthetic and spirit of design in our wardrobe; when we instill philosophies that differ from those of Western cuisine in our tableware; and when our furniture and homes respect the "blank margins occupied by objects and spaces. One of the underlying aims of this biennale is to seek out ways of reviving Korean tradition in our contemporary lives amid a resurgence in SUMUK art. The reason the rhythms of Brazil's bossa nova and Argentina's tango resonate so universally around the world is because they incorporate the universal instruments of the jazz trio - piano, bass, and drums — allowing them to be performed by musicians around the world. In this sense, I am certain that we can achieve the globalization, popularization, and branding of Korean SUMUK once we succeed in instilling the unique nuances of SUMUK tradition into structures with a universal reach. Although it unfortunately could not be shown at the biennale this year, if I were asked to name the artwork that best represents the event's spirit, it would be WHERE, IN WHAT FORM, SHALL WE MEET AGAIN by Whanki Kim. It is a true example of a contemporary SUMUK painting that embodies the spirit of SUMUK. It proves that Korean contemporary art is not some derivative product introduced from outside the peninsula after the developments of Western art history, but something formed from accumulated, condensed textures and emotions amid the longstanding currents of a unique aesthetic tradition. When the film PARASITE became a global hit, many talked about a quote attributed to Martin Scorsese: "The most personal is the most global" While we may ask whether there really is such a thing as global. "completely Korean," Whanki Kim once said, "The most Korean is the most The fragrance of ink emanating from this event ripples through connections that span the entire Jeollanam-do region. In addition to the main exhibitions in Mokpo and Jindo, there are four special exhibitions including ones at the Asia Culture Center in Gwangju and the Cho Heeryong Art Museum in Sinan) and other commemorative exhibitions in nine different cities and counties. I'll limit my overview to the exhibitions listed in this catalogue. In Exhibition Pavilion 1, the concept is "Contemporary SUMUK," as "Western" like Eastern painting and Eastern-like Western painting" is presented in an exploration of the ways in which SUMUK has transcended eras and boundaries to mix with and leave marks on other genres over the course of its evolution. In Exhibition Pavilion 2, the concept is "Context of Namdo SUMUK," with an exhibition showing the inclusivenessm, Korean painting achiev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SUMUK and polychrs of this intings that incorporate motifs from the SUMUK tradition, In Exhibition Pavilion 3, the concept is "Spirit of SUMUK," with an exhibition featuring Korean and overseas artists whose work embodies how the spirit of SUMUK is realized in ways that transcend the original techniques and materials of "paper, brush, and ink" This exhibition is also presented in video form on a large screen as an alternative approach for the COVID-19 exa that represents an effort to overcome both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Also in Exhibition Pavilion 3 is "New Generation Shangri-La," a section by younger artists from the postmodern post-1990s generation in which they communicate an intimate sensibility through personal, everyday storytelling. Exhibition Pavilions 4 and 5 focus on "Design SUMUK in Daily Life," taking place primarily around Ullimsanbang in Jindo. While they explore the ways in which the spirit of SUMUK can be incorporated into clothing, food, and shelter, their focus is not simply on direct ezpressions of design, but on the art form's pure spirit as a potential source for such designs. Exhibition Pavilion 6 features a Korea-Hong Kong international exchange exhibition that shares stories of shared growth and harmony between artists from Hong Kong and the Jeonnam region through SUMUK. One of the biennale's special exhibitions, HO• HO • HO, is held at the Asia Culture Center and offers an opportunity to trace the lineage of the Southern School of painting, dating back to the times of Sochi Heo Ryeon. SUMUK is painting written in water. It is script painted in water, Water fluidly quivers between stillness and movement, free in its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It seeps into low places and moves to fill empty spaces. "Water control" is a form of civilization in which people seek to tame this utterly uncontrollable force of nature in meaningful ways. Through water control, we create paths, and those paths create peace. There is an old Chinese saying that reads, "ZHEN SHUI WU XIANG": True water has no scent." With all extraneous elements stripped away, SUMUK radiates a shining achromatic aura. Within its tarnished brilliance, the vulgarities and impurities of life are cleansed. Yet the grays of monochrome understand the splendor of all colors, occupying a site where such brilliance begins and ends. To water and ink, we ask the question: "Where does the path lie?"

COMING SOON

COMING SOON

Pavilion 5. 진도 소치기념관

© 2019~ 2025 JinHa PARK PHOTOGRAPHY     All Right Reserved .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