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Vision of Balance

Vision of Balance

Invited Solo Exhibition

2023. 8.25 -  9.23

  박진하의 전시 < Vision of Balance>가 2023 8월 25일부터 9월 23일까지 진행됩니다. 그는 지난 10년간 대한민국 해안의 등대를 속속들이 찾아 촬영한 작품들을 보여줍니다. (대한민국은 지리적인 이유로 삼면을 바다에 접한 반도지형이다) 등대라는 대상을 우리의 현실로 연관 지어, 시간과 공간에 대한 본질과 이미지의 오리지널은 어디서부터 시작되는지 차분히 묻고 있습니다.  그가 아름다운 자연속에 위치하는 등대들을 바라보면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철학적인 질문을 하며 어떤 이유로 균형이라는 개념을 제시하는지는 작품을 감상하며 찾아보셔야 합니다.

 

우리 세대가 공유한 이미지들과 수많은 미디어들을 통해 길들여진 우리의 시각은 어떤 중심을 갖고 있는지 의문을 갖아왔고 현대기술이 만들어낸 디지털 원근법을 철저히 제한하며 그 만의 다양한 최신 촬영 기법을 창조하여 섬세한 촬영 방식으로 자신만의 사진 어법을 구축해 왔습니다. 이는 가장 명확하게 풍경은 장면이 아닌 공간이며 자의적으로 객관화된 한명의 예술가가 그의 눈을 통해 세상의 공간을 설명하는 서사입니다. 그는 마치 탐험가처럼 역사적 상흔이 남은 장소를 직접 수십 번 탐방한 결과를 토대로 한 공간에 존재하는 대상, 빛, 바람, 움직임, 배경을 그만의 해석으로 하나의 시공이 담긴 "장면'으로 표현하는 심미적 실험을 지속해 오고 있습니다. 그가 끊임없이 수행하며, 그것의 결과들을 하나씩 기록하며 만들어낸 이 개념들은 <At That Time>, <the Eyes>, <Half & Halfs>, <Void>, <Convergence & Divergence>, <Balance>, <Beyond> 이렇게 7가지로 분류되며 '풍경 설명서'의 챕터1에 전개 되고 있습니다. 이는 Image Taking; "Moment Taking으로 탄생된 어떤 결과물"로 사진의 경계를 초월한 예술적 메시지와 보는 이들이 능동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한 장소에서 몇 주씩 지속적으로 마냥 어떤 순간을 기다리는 것에 대해 그는 너무나 당연한 사진가의 일상이라고 합니다.  그 기다림의 끝은 창조나 창작을 위한 기다림이 아니라, 이미지를 이해하고 온전히 받아들이려는 과정이며, <박진하가 본 것>을 그대로 관객에게 보여 주려는 최소한의 시도라고 합니다. 그는 덤덤히 이야기합니다. "그때 본 것, <그때만의 상황을 재현하는 것>은 결국 세상을 <물과 돌>로 보는 것으로 시작됐습니다. 물과 돌로 사물과 현실을 이해하면 <시간을 관계>로 표현할 수 있으며, <시각의 공감대>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번 전시 <Vison of Balance>를 통해 한 예술가가 본 현시대와 삶의 태도를 읽어볼 수있는 기회이다.                                                                                호기심 천재용 대표

 

 

 

   Park Jin-ha's exhibition <Vision of Balance> will be held from August 25 to September 23, 2023. He will present works that he has taken by visiting and photographing lighthouses along the coast of South Korea for the past 10 years. (South Korea is a peninsula surrounded by the sea on three sides due to geographical reasons.)By connecting the subject of lighthouses to our reality, he calmly asks where the essence of time and space and the original image begin. You must find out what he thinks when he looks at lighthouses located in beautiful nature, what philosophical questions he asks, and why he suggests the concept of balance while appreciating his works.

 

He has questioned the center of our vision, which has been tamed through images shared by our generation and numerous media, and has thoroughly limited the digital perspective created by modern technology and created his own various cutting-edge shooting techniques to establish his own photographic language with delicate shooting methods. This is most clearly the case when a landscape is not a scene but a space, a narrative in which an arbitrarily objectified artist describes the space of the world through his eyes. Based on the results of his dozens of visits to places with historical scars, just like an explorer, he has continued his aesthetic experiments by expressing the objects, light, wind, movement, and background existing in a space as a "scene" containing a single space and time with his own interpretation. The concepts he created by continuously performing and recording the results one by one are classified into 7 categories: <At That Time>, <the Eyes>, <Half & Halfs>, <Void>, <Convergence & Divergence>, <Balance>, and <Beyond>, and are developed in Chapter 1 of 'Landscape Manual'. This is Image Taking; "a result born from Moment Taking", and provides an artistic message that transcends the boundaries of photography and an opportunity for viewers to actively communicate.

 

He says that waiting for a moment for several weeks in a place is a very natural routine for a photographer. The end of that waiting is not waiting for creation or creation, but understanding the image. It is a process of accepting everything completely, and it is the minimum attempt to show the audience what <Park Jin-ha saw> as it is. He speaks calmly. "What I saw then, <reproducing the situation at that time> ultimately began with seeing the world as <water and stones>. If you understand objects and reality through water and stones, you can express <time as a relationship> and find <a common ground of vision>."

This exhibition, <Vision of Balance>, is an opportunity to read the contemporary era and attitude toward life as seen by an artist.

   바다는 흔들리고, 육지는 가라앉는다. 돌은 그 자리에 오래 머무르고, 부표는 끝없이 부유한다. 작가는 이 모든 상반된 것들이 서로를 견디고 조율하며, 하나의 ‘현존’을 이루는 순간들을 포착한다. 동해, 서해, 남해의 바닷가를 따라 이어지는 이 사진 연작은, 한국 해안의 다양한 해상 구조물과 자연 지형들을 담고 있다. 부둣가의 콘크리트, 바다 위에 부유하는 부표, 파도에 닳은 갯바위, 고요히 서 있는 등대, 그리고 수평선 너머로 펄럭이는 양식장의 깃발들—이 모든 요소들은 박진하 작가의 시선 아래, ‘균형’이라는 개념의 물리적이자 상징적인 비유로 재배열된다.

하지만 작가가 말하는 균형은 단순한 좌우의 평형 상태가 아니다. 그것은 서로 다른 속도와 리듬, 힘과 밀도의 충돌과 공존 속에서 이루어지는 복합적 평형이다. 바다는 끊임없이 출렁이고, 구조물은 그 움직임 속에서 견디며 위치를 유지한다. 그 모습은 곧, 자연과 인간, 자아와 타자, 개인과 사회, 도시와 국가가 어떻게 긴장 속에서 조화를 이루고 있는지를 드러내는 시각적 사유이다. 이 연작은 철학적으로, 인간이 외부 세계와 맺는 관계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제기한다. 타자와 나 사이에 놓인 거리를 어떻게 감각할 것인가, 환경과 우리는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 그리고 사회 혹은 공동체 내부에 생겨나는 균열과 그 틈 사이를 우리는 어떻게 복원해낼 수 있는가—작가는 이 질문들을 시각적인 층위에서 응시하고 있다. 그 응시는 때로 조용한 침묵처럼, 때로는 균열을 따라 조심스럽게 내딛는 발걸음처럼 조율된다. 이러한 시선은 불교의 ‘중도(中道)’ 사상을 연상시킨다.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극단을 경계하며 중심을 향해 나아가는 길. 혹은 도가 철학에서 말하는 ‘무위(無爲)’의 상태, 인위적 개입 없이 사물들이 스스로의 리듬을 따라 흐르는 질서—이 연작은 그와 같은 비움과 흐름, 자연스러운 질서의 감각을 사진이라는 형식을 통해 조용히 드러낸다. 서양과 동양의 균형 미학을 넘나드는 유려한 감각을 보여준다. 르네상스 회화에서 발견되는 황금비의 조화는 물론, 일본 동양화의 여백과 정적인 화면 구성도 연상된다. 작가의 이미지들은 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으며, 중심을 명확히 지시하지 않으면서도 보는 이의 시선을 따라 부드럽고도 긴밀하게 흐른다. 시선은 수평선 너머로 이어지고, 프레임의 경계는 마치 끝이 아닌 시작처럼 열려 있다. 그 속에서 균형은 정적인 구조가 아니라, 시각적 리듬으로 작동한다.

작가의 사진들은 고요함 속에 숨은 에너지의 평형을 떠올리게 한다. 부표는 떠 있지만 결코 정지해 있지 않고, 바위는 움직이지 않지만 파도에 닳는다. 고정된 구조물과 유동하는 물결 사이에는 끊임없는 힘의 교환이 이루어진다. 그 움직임은 마치 양자물리학에서 말하는 불확정성의 원리처럼, 정지된 이미지 안에 숨어 있는 미세한 진동과도 같다. 완전한 정답이나 단일한 상태는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것은 끊임없는 조정과 긴장 속에서 간신히, 그러나 아름답게 균형을 유지한다.

“Balance”는 결국,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바라보는 감각을 다시 정렬하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균형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과연 도달 가능한 어떤 상태인가, 혹은 끊임없이 만들어가야 하는 움직임의 과정인가—박진하 작가는 이러한 질문을 직접 말로 묻기보다, 응시와 기다림이라는 사진의 언어로 조용히 제시한다. 작가의 프레임 안에서 세계는 단단히 고정되지 않고, 바람에 흔들리는 부표처럼 끊임없이 조정되고 재구성된다. 그리고 그 흔들림과 불완전함 속에서, 우리는 오히려 더 깊이 있는 ‘살아 있는 균형’의 실체를 마주하게 된다.

Vision of Balance

The sea quivers, the land subsides. Stones remain long in place, while buoys drift endlessly. The artist captures moments in which these opposites—tensioned and dissonant—endure one another, finding, through subtle negotiation, a form of presence. This photographic series traces the shores of Korea—the East Sea, West Sea, and South Sea—presenting an array of coastal structures and natural formations. From the austere concrete of a harbour wall to the floating buoy on the water’s surface, from wave-worn rocks to solitary lighthouses, and the flags of aquafarms fluttering beyond the horizon—each element is reassembled beneath the artist’s gaze as a physical and symbolic metaphor for the notion of "balance."

Yet the equilibrium that Jin Ha Park speaks of is no simple symmetry between oppositional poles. It is a complex equilibrium—emerging from the collisions and coexistences of disparate velocities, rhythms, forces, and densities. The sea is in perpetual motion; structures remain, resisting the pull, weathering its insistence. This very persistence reveals a visual contemplation on how nature and humankind, the self and the other, the individual and society, the city and the nation strive toward harmony amidst their tensions. Philosophically, this work poses essential questions about the nature of ou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world: How might we perceive the distance between self and other? In what ways are we entangled with our environments? And how might the fractures within a community be sensed, acknowledged, or perhaps even healed?

The artist addresses these questions not through direct assertion, but through a visual attentiveness that is at times like a quiet silence, and at others like a tentative step across a fissure. The gaze evokes the Buddhist concept of the Middle Way—a path not bound by extremes, but oriented towards centredness. Equally, one is reminded of the Daoist notion of wu wei—a state of non-action, or rather, harmonious alignment with the natural flow of things. Through photography, the artist gives form to this order of emptiness and motion, of unfolding without force.

There is a graceful sensibility in this work, one that traverses the aesthetics of both East and West. The harmony of proportion found in Renaissance painting resonates here, as does the spacious composition and tranquil presence of traditional Japanese ink landscapes. The images do not lean to either side; they do not fix a centre, yet they guide the eye gently, intimately, along a continuous line. The gaze is drawn beyond the horizon, while the boundaries of the frame remain open, like a threshold rather than a limit. In this way, balance is not rendered as a static structure but unfolds as a rhythm—visual, temporal, embodied.

In the quietude of these images, one senses the equilibrium of latent energy. The buoy floats but is never still; the rock is unmoving, yet worn down by the waves. Between the fixed and the fluid, a ceaseless exchange of force takes place. This movement, delicate and hidden, resembles the uncertainty principle of quantum physics—an invisible tremor embedded within a moment that appears still. There are no final answers, no singular states; all is in flux, all is precariously, yet beautifully, held in balance.

"Balance", then, is an attempt to reorient the way we perceive the world we inhabit. What is balance? Is it a state to be reached, or a process to be continually enacted? Rather than pose these questions in words, Jin Ha Park invites us to dwell within them—through the language of photography, through attention and waiting. Within the artist’s frame, the world is never fully fixed, but like a buoy in the wind, it is perpetually recalibrated, reformed. And in that gentle trembling and imperfection, we may come to recognise, more profoundly, the living essence of balance itself.

COMING SOON

© 2019~ 2025 JinHa PARK PHOTOGRAPHY     All Right Reserved .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