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SACTION
도시의 숨결을 기록하는 사진, 혹은 건축적 서사
박진하 작가의 작품 앞에 서면, 도시가 단지 물리적 구조물의 집합체가 아니라는 것을 다시금 느끼게 된다. 그의 사진은 단순한 재현이나 기록을 넘어, 도시가 품은 시간의 축적과 공간의 감정을 다층적으로 풀어내는 일종의 건축적 서사로 기능한다. 작가는 낯익은 도시 풍경을 마주하면서도, 전혀 낯선 감각을 우리에게 불러일으킨다. 이는 단순히 새로운 시점을 제시한다기보다는, 우리가 익숙하게 지나쳐왔던 도시의 '숨결'을 다른 리듬으로 체험하게 만든다. 이 장면에서 박진하 작가는 마치 고전적인 플라뇽(planning) 설계자처럼 도시를 내려다본다. 하지만 그의 시선은 수직적인 지배가 아니라 수평적인 감응에 가깝다. 도시의 형상들이 빛과 그림자 사이에서 고요히 드러나고, 물성과 표면은 그 자체로 역사적 층위를 은유한다. 건축이란 결국, 인간 삶의 궤적을 수용하고 지탱하는 '틀'이라면, 그의 사진은 그러한 건축의 존재론적 기원을 역설적으로 묻고 있는 듯하다. 도시학적으로 보자면, 이 사진은 하이데거가 말한 ‘장소성(Gegendlichkeit)’의 시각적 구현이라 할 수 있다. 도시가 단순한 기능적 집합이 아닌, 인간 존재가 자신을 놓고-사는(being-in-place) 조건으로서의 장소가 되어야 한다는 명제를 사진은 감각적으로 증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케빈 린치(Kevin Lynch)의 ‘이미지의 도시’(The Image of the City)에서 말한 기억 가능한 도시 이미지—경계, 지표, 지구, 결절점, 경로의 상호작용—가 작가의 프레임 안에서 절묘하게 조율되고 있다. 각기 다른 깊이의 원근감, 반복적이나 균형 잡힌 형태, 그리고 구조물 사이를 비추는 빛의 흐름은 도시가 만들어내는 리듬과 긴장을 기록하는 설계도의 일종이다. 건축이론적으로는, 그의 시선이 단순한 외관적 형태를 넘어 ‘구성’의 언어로 읽힌다. 알도 로시가 말했던 ‘기억의 건축’처럼, 이 사진은 도시 구조물에 축적된 시간의 흔적과 집단적 무의식을 포착한다. 혹은 베르나르 츄미가 이야기한 ‘이벤트와 프로그램의 교차지점’처럼, 정지된 장면 속에서도 사건이 발생하고 사유가 확장된다. 구조는 움직임의 가능성을 잠재적으로 담고 있으며, 사진은 그 에너지의 결절점을 응축하고 있다. 무엇보다 이 작품은 공간을 바라보는 방식에 있어 ‘차가운 거리감’이 아니라 ‘따뜻한 관조’에 가깝다. 대상을 정복하려는 시선이 아니라, 이해하고자 하는 태도, 혹은 존재에 귀를 기울이는 성찰적 자세가 느껴진다. 이 부드러운 시선은 인간 중심의 도시를 다시 상상하게 한다. 기계적 생산과 자본의 축적, 무한한 개발 논리를 벗어난 도시. 박진하의 사진은 그런 도시의 가능성, 혹은 도시가 잊고 있던 감각을 회복하는 제의(ritual)에 가깝다.
























INTERSACTION
Photographing the City's Breath, or an Architectural Narrative
Standing before Park Jin-ha's work, one is reminded that the city is not merely an aggregate of physical structures. His photographs go beyond simple representation or documentation, functioning as a form of architectural narrative that multi-layeredly unravels the accumulation of time and the emotion of space contained within the city. Encountering the familiar urban landscape, the artist evokes in us a sensation that is entirely unfamiliar. This is not simply about presenting a new perspective but making us experience the city's 'breath,' which we have habitually overlooked, at a different rhythm.In these scenes, Park Jin-ha surveys the city almost like a classical planner. However, his gaze is closer to horizontal resonance than to vertical domination. Urban forms emerge quietly in the interplay of light and shadow, while materiality and surface themselves serve as metaphors for historical strata. If architecture is ultimately the 'framework' that accommodates and sustains the trajectory of human life, his photographs seem paradoxically to question the ontological origin of such architecture. From an urbanological standpoint, these photographs can be seen as a visual embodiment of Heidegger's 'place-ness' (Gegendlichkeit). The images sensuously demonstrate the proposition that the city should not be a mere functional aggregate but a place that serves as the condition for human existence's 'being-in-place'. More specifically, the interaction of memorable urban images – the paths, edges, districts, nodes, and landmarks – as defined in Kevin Lynch's 'The Image of the City', is exquisitely orchestrated within the artist's frame. Different depths of perspective, repetitive yet balanced forms, and the flow of light illuminating between structures function as a type of blueprint recording the rhythm and tension generated by the city. In terms of architectural theory, his gaze reads not merely as external form but as the language of 'composition'. Like Aldo Rossi's 'Architecture of Memory', these photographs capture the traces of time accumulated in urban structures and the collective unconscious. Or, as Bernard Tschumi discusses, they represent the 'intersection point of event and program' (or space), where events occur and thought expands even within a static scene. The structure implicitly contains the potential for movement, and the photographs condense these nodes of energy. Crucially, the way this work regards space leans closer to 'warm contemplation' than 'cold distance'. One perceives an attitude of seeking to understand, or of listening to existence, rather than a gaze seeking to conquer the subject. This gentle gaze allows us to re-imagine a human-centric city – a city freed from the logic of mechanical production, capital accumulation, and infinite development. Park Jin-ha's photographs are akin to a ritual for recovering the senses that the city had forgotten, or for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such a city.
COMING S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