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Busan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부산국제사진제 조직위원회(회장 김천식)는 이일우 예술감독을 선임하여 2025년 9월 24일부터 10월 23일까지 제 9회 부산국제사진제(BIPF) ‘혼 불’을 개최한다. 2025 부산국제사진제 ‘혼 불' 은 대한민국 사진축제 최초로 한국 정신문화의 근간을 이루는 “인간에 대한 존재론적 성찰”을 주제로, 국내외 작가와 작품들을 초청하여 한국 고유의 정신과 철학이 갖는 예술미학의 가치를 소개한다. 또한 ‘정신의 가치’를 중시하는 동시대 글로벌 현대예술의 주요 흐름 속에 한국사진예술이 갖는 고유한 경쟁력과 가치를 주요 전시들을 통해 이야기한다. 이를 위해 2025 부산국제사진제는 주제전 ‘혼 불, 심연의 빛’, 국제청년작가 교류전 ‘Under the skin; 열과 막’, 국제 오픈콜 전시 ‘혼이 있는 바다’ 등이 F1963 석천홀, 스페이스 원지, 학장공단 일산수지 등에서 개최되며 이외에도 ‘은막의 스타’, ‘부산 사진가’ 전 등 다양한 특별전과 부대행사가 개최될 예정이다.
2025 부산국제사진제 ‘혼 불' 은 대한민국의 유구한 역사와 함께한 한국인의 문화적 전통성을 바탕으로 가장 한국적인 동시에 가장 세계적인 한국사진예술의 가치를 제시하고 한국을 대표하는 사진축제로서 부산국제사진제의 또 하나의 도전의 계기가 될 것이다.
총감독 이일우
Honbul, Light of the Abyss
From September 24 to October 14, the Busan International Photography Festival will feature the thematic exhibition "Honbul, Light of the Abyss" at F1963 Sukcheon Hall. This groundbreaking exhibition will be the first in South Korea to delve into "human existence through Korea's unique cultural and philosophical lens, " drawing from the nation's rich spiritual traditions to offer a new perspective on how these influences shape our understanding of life. Showcasing works by both Korean and international artists, the exhibition will examine the distinct artistic and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Korea’s cultural and spiritual heritage. Through this exhibition, the 2025 Busan International Photography Festival presents a new, thought-provoking theme, highlighting Korean photography as both firmly based in the nation’s traditions and poised to make an impact on the global stage. Many photography festivals across South Korea, including those in Seoul, show a tendency to follow the same patterns as previous events, focusing on themes based on Western photography theories and primarily offering a platform for well-known international artists. As a result, they have struggled to rise above the limitations of being perceived as just another localized cultural event, lacking broader international impact.
The 2025 Busan International Photography Festival blends Western art theory with a distinctly Korean vision, offering a platform to showcase the unique identity of Korean photography through the theme "Honbul, Light of the Abyss." By doing so, the festival aims to elevate its position and reputation as South Korea's leading photography event.
Artistic Director, 2025 Busan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Lee Il Woo
2025 BIPF Main Exhibition
주전시 F1963, 석천홀 ( 9.23 - 10.14 )
혼불, 심연의 빛
‘역사를 잊은 국민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이 있다. 역사를 기억하고 지키는 것이 민족의 존재와 미래를 결정짓는 핵심이라는 경고와 독려의 메시지이자 개인은 물론 사회를 구성하는 문화 정체성의 근원인 기억과 정신을 존중하고 재인식하는 것이 과거와 현재를 연결해 미래의 길을 모색하는 중요한 원리로 작동한다는 점을 이야기하는 문구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억과 성찰이 희미해진 현대 사회에서, 한국전쟁 이후 눈부신 성장과 K-컬처의 세계적 확산 속에서 개인은 오히려 점차 소외되었다. 눈부신 발전 이면에는 물질주의와 왜곡된 개인주의가 고립과 혼란을 낳고, 인간성 상실과 자연 파괴 같은 문제가 드러났다. 이번 부산국제사진제는 ‘혼불’이라는 주제를 통해 현대 사회가 잊고 지나친 한국의 정신과 문화를 돌아보고 인간 존재의 본질과 공동체적 가치를 되찾으며 나아가 역사와 화해, 집단적 극복, 자연과의 공존 등 우리 사회가 가져가야할 미래 가치를 이야기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혼불, 심연의 빛〉은 개인과 공동체의 깊고 어두운 내면을 직시하며 그 속에 숨겨진 빛, 즉 희망과 에너지를 한국 문화와 전통의 정서를 통해 발견함으로써 공동체적 성찰과 극복의 가능성에 주목한다. 이에 고통을 상기하는 기록이자 고유한 문화 정신을 환기하며, 한국인의 생명력과 에너지를 탐구하고 정신적 가치와 내면의 본질을 추구하는 작업들이 초대되었다. 하나의 주제 아래 새롭게 재해석된 작품들이 모여 ‘혼불’의 의미를 다각도로 구현하며, 흔들림 없는 공동의 기억을 형성하기를 바란다.
권순관과 성남훈의 노근리와 제주 4·3사건, 조소희의 세월호, 야나 코노노바의 우크라이나 전쟁 작업은 공동체의 지울 수 없는 상처를 통해 고통과 절망의 심연을 직시하게 한다. 반면 김우영의 돌과 황규태의 <녹아내리는 태양>은 우리 안의 생명력과 에너지를 은유하며, 이선주의 보자기, 양재문의 전통춤, 장숙의 늙은 여인의 신체에서 전달되는 한국 고유의 정신과 감각은 공동체적 정서를 단단히 세운다. 또한 박진하의 붉은 설악산, 이종만의 숲, 이갑철의 <충돌과 반동>, 라이너 융한스의 작업은 거대한 자연 앞에서의 겸손과 조화와 공존의 가능성을 일깨우고, 우창원의 마스크, 이완교의 〈피안〉, 한정식의 〈고요〉 앞에서 내면을 발견하고, 존재의 본질과 정신적 가치를 성찰하는 사유의 과정에 이르게 된다. 참여 작가들의 작업은 서로 보완되고 겹쳐지며 심연 속에서 발견한 희망과 깨달음의 서사를 완성한다. 한마디로 규정할 수 없는 ‘혼불’의 의미를 사진의 실재성과 이미지 너머를 사유하게 하는 추상성으로 탐구하며, 전시는 현재와 미래를 잇는 기억의 작업이자 관객이 사유와 성찰을 통해 역사 주체가 되는 과정이 된다. 이는 발터 벤야민이 말한 ‘억압받는 자들의 기억’을 복원하는 진정한 역사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며, 동시에 대한민국 사진 예술의 정체성을 제시하는 한국 사진 발전의 변곡점이 되고자 한다.
큐레이터 이정은
There is a saying: “A nation that forgets its past has no future.” It is a warning that remembering and preserving history is the very key to a nation’s existence and future. Honoring and reawakening the memories and spirit that form the foundation of cultural identity for both individuals and society also serves as a vital principle that links past and present while guiding us toward the future. Yet beneath the dazzling progress Korea has achieved since the Korean War, we also find troubling realities: the alienation and isolation of individuals, the worship of material wealth, the erosion of humanity, and the destruction of nature. Our reflection upon these issues has, over time, grown faint. The 2025 Busan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seeks, through the theme Honbul, to revisit the spirit and culture that contemporary society has neglected, to recover the essence of human existence and the value of community, and to open conversations around the future values our society must embrace, such as reconciliation with history, collective resilience, and coexistence with nature.
Honbul, Light of the Abyss confronts the profound and shadowed depths of both the individual and the collective, while discovering within them a hidden light— hope and vitality—through the sensibilities of Korean culture and tradition. The exhibition highlights the possibilities of cultural reflection and renewal by recalling pain, evoking enduring cultural spirit, and inviting works that explore the vitality and energy of the Korean people as well as the pursuit of spiritual value and inner essence. By bringing together newly reinterpreted works under the shared theme of Honbul, the exhibition endeavors to embody its meaning in multiple dimensions and to shape an unwavering collective memory. The works in Honbul complement and overlap with one another, weaving a narrative of hope and awakening drawn from the depths, while also encouraging contemplation beyond the image of Honbul, a concept impossible to define in a single phrase. Through the inherent abstraction of photography, the exhibition conveys memory that bridges the present and the future. In doing so, it fulfills what Walter Benjamin called the true task of history—restoring “the memory of the oppressed”—while also marking a turning point in the evolution of Korean photography, presenting a renewed identity for photographic art in Korea.
Curator Jeongeun Lee
작가는 인간의 감각 너머, 사진 매체의 한계를 넘어선 ‘풍경 이후의 풍경’을 주제로 설악산 연작 「초월(Beyond)」을 선보인다. 적외선 촬영과 스티칭, 스태킹 기법을 결합해 제작한 초대 형 파노라마는 현실을 다층적이고 확장된 공간으로 재현한다. 원근감이 제거된 화면에는 흑백 의 깊이와 선명한 붉은색이 공존하며, 낯설고도 강렬한 풍경을 형성한다. 설악산은 오래도록 한국인의 정신적·문화적 정체성이 깃든 신성한 자연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적외선의 시선 아 래 붉은 빛으로 재탄생한 산은 불(火)과 생명력, 탄생의 상징으로 읽힌다. 동시에 그것은 현대 사회의 단합과 에너지의 이미지로 확장된다. 감각이 포착하지 못하는 영역, 시선이 닿지 않는 차원을 프레임 안으로 불러들이는 그의 시도는 풍경을 단순한 실제 공간이 아닌 ‘숨은 현실’ 의 층위로 경험하게 한다. 그의 사진은 결국 감각의 지평 너머를 탐색하도록 관객을 이끈다.
The artist presents the Seoraksan series Beyond under the theme of the "landscape beyond landscape," transcending human perception and the limitations of the photographic medium. Created through a combination of infrared photography, stitching, and stacking techniques, the monumental panoramic works reconstruct reality as a multi-layered and expanded space. In these images, from which conventional perspective has been removed, the depth of monochrome coexists with vivid reds, forming a landscape that is at once unfamiliar and striking.
Seoraksan has long been regarded as a sacred natural site imbued with the spiritual and cultural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Reimagined through the lens of infrared as a mountain glowing red, it symbolises fire, vitality, and birth. At the same time, it expands to evoke the collective energy and unity of contemporary society. By bringing into the frame realms beyond sensory perception and dimensions inaccessible to the eye, the artist invites us to experience landscape not merely as physical space but as a stratum of ‘hidden reality’. Ultimately, his photographs guide the viewer to explore what lies beyond the boundaries of perception.

38°11'36.3"N 128°28'32.8"E , Beyond (Manual of Landscape)
2021 Summer
Archival pigment print
15.000x 3.000 (1.500x 3.000x 10ea)
Infrared Stitched Stacked Panorama

38°05'02.9"N 128°25’49.7"E , Beyond (Manual of Landscape)
2022 Summer
Archival pigment print
3.000x 3.000 (1.500x 3.000x 2ea)
Infrared Stitched Stacked Panorama






COMING SOON





